제목 | [그린 아시아] [미얀마] 미얀마의 빛, 어둠과 미래를 함께 밝힙니다 | 2018-01-10 |
---|---|---|
걷거나 자전거 혹은 오토바이를 타고 저희를 찾아와 태양광 장비 설명을 귀담아들었던 반짝반짝한 눈빛이 동행을 이야기하고 희망을 말했습니다. 그때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환경재단은 추운 겨울, 태양광 장비와 함께 여전히 무더운 미얀마에서 그들을 다시 만났습니다. 그리고 이제 마을의 밤에도 그리고 삶에도 빛이 들기 시작하려 합니다. *2017년 아시아 태양광 지원사업은 미얀마와 방글라데시의 밤을 밝힙니다. 각 가정에 초소형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여 가정에서 직접 태양광을 활용하여 전기를 충전합니다. 이 장비는 신성E&G에서 개발도상국에 전기인프라를 보급하고자 제작되었으며 주민들은 소정의 월 임대료를 마을운영위원회에 냅니다. 지불한 월 임대료는 학교건축, 공동소득사업 등 마을발전사업에 직접 사용됩니다.
저희가 찾아간 곳은 수많은 파고다와 열기구가 연출하는 조화로움이 일출과 일몰의 노란 하늘에 수놓는 ‘바간’지역의 따란깐 마을과 건기에는 자동차로, 우기에는 배를 타야만 만날 수 있는 ‘빤따노’지역의 예뽀예래 마을입니다. 이번 방문에는 태양광 장비 제조회사인 신성E&G와 동행했습니다. 두 마을을 모두 방문하기 위해 미얀마 최대도시인 양곤으로 입국합니다. 먼저 한국 NGO ‘푸른아시아’와 함께 바간을 방문했습니다. 바간은 양곤으로부터 약 600km가량 떨어진 곳입니다. 프로펠러 비행기를 타고 1시간 정도 날갯짓을 하면 도착합니다. 바간에 내려 소달구지에 물탱크를 싣고 긴 거리를 오가는 마을주민들과 인사를 하다보면 ‘따란깐 마을’에 도착합니다. 이들의 따뜻한 환대로 전달식이 열렸습니다. 그들의 진심을 알기에 더욱 고마워집니다. ![]() ![]() ![]()
전달식에는 마을주민 100여 명과 지역 국회의원이 참여했습니다. 환경재단은 태양광 장비 본체와 함께 사용방법과 유의사항을 전달했습니다. 아이들도 맨 앞에 앉아 이런저런 궁금한 점을 물어봅니다. 밤에 전등을 켜놓고 친구들과 놀아도 되는지, 놀고 공부도 할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물론 옆에 앉아있는 아빠의 눈치도 한번 보고요. ![]() ![]() ![]() ![]() 전달식에 참여한 지역 국회의원은 이번 방문으로 ‘따란깐 마을’의 존재를 알았다고 합니다. 전기, 식수, 학교, 도로 등 모든 인프라가 열악한 이 마을의 진입로를 수리해주겠다고 공언했습니다. 환경재단은 이를 계기로 옆 마을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등하굣길이 보다 나아지길, 또 달구지를 짊어진 소의 발바닥도 그 수고가 덜어지길 기원했습니다. 다음 모니터링 때는 조금 더 밝고 안전한 따란깐 마을의 밤을 볼 수 있겠죠? 저희는 바간의 노을을 바라보며 다음 방문지인 ‘예뽀예래 마을’로 향했습니다. 예뽀예래 마을에서의 모든 활동은 한국 NGO ‘더프라미스’와 협력했습니다. ![]() ![]() 지난여름 방문 때는 우기여서 배를 타고 들어갔어야 했는데요. 이번엔 건기입니다. 덜컹덜컹 차를 타고 4시간 동안 굽이굽이 마을을 찾아갑니다. ![]() ![]() 이곳은 마을주민들의 의지와 더프라미스의 노하우가 적절히 조화되어 마을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습니다. 그 역량은 마을 돗자리 사업의 성공으로 발현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태양광 장비를 어떻게 효과적인 마을발전으로 이어나갈지, 전달식은 어떻게 할지 등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내고 역할분담을 통해 효율적으로 실현해나갑니다. ![]() ![]() ![]() ![]()
전달식은 마을 입구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아이들과 어른들이 모두 모여 빛을 맞이합니다. 무엇보다 주민들은 태양광 장비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관심이 무척 많았습니다. 밤을 밝힘은 물론이며 마을발전에도 지속해서 기여하고자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환경재단은 두 번에 걸쳐 교육의 장을 열었습니다. 신성E&G에서도 주민들이 원하는 지식과 노하우가 전달되도록 열과 성을 다했습니다. ![]() ![]() ![]() ![]() ![]() ![]()
“고맙다. 우리는 여전히 부족하지만, 이것에도 감사하고 만족한다. 비행기로, 차로, 배로 미얀마 구석구석을 방문했습니다. 서로 다른 기후 속에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이 공통으로 했던 말입니다. 그 말은 환경재단이 ‘이 사업을 왜 시작했는지’에 대한 초심을 일깨웠습니다. 작은 도움일지라도 많은 사람이 행복하길, 그 안에서 자연이 지켜지기를, 또 함께 살아가는 즐거움이 유지되길 바랐던 그 목적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전한 말을 되뇝니다. 환경재단은 앞으로도 아시아지원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아시아를 만들어가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