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그린 캠페인] 사랑엔 국경이 없다. 그리고…방사능에도 국경이 없다. | 2012-01-12 |
---|---|---|
-최열 환경재단 대표 & 레스터 브라운 소장 공동기고문, <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 <요미우리 신문>, <방콕 포스터> 등 외신 및 SNS 집중 조명
2050년, 일본은 ‘원전 제로’ 국가가 된다. 일본 정부가 최근 원자력발전소 운전기간을 40년으로 법제화해, 2050년까지 모든 원전이 폐쇄되기 때문이다. 작년 3월 11일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후 아무런 움직임도 없던 일본 정부에서 드디어 진일보한 정책을 발표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과 이웃해 있으면서 방사능의 피해를 직접 목격한 우리나라는 여전히 조용하다. 오히려 일부에서는 “이번이야말로 한국 원전을 수출할 수 있는 기회”라고 떠들기까지 한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의 폐해를 교훈삼아 세계는 ‘원전 중단’을 향해 한 발짝 나가고 있는 것에 비하면 한참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다.
이에 최열 환경재단 대표와 세계적인 환경석학인 ‘지구정책연구소’ 레스터 R. 브라운이 작년 말 손을 잡았다. ‘원자력발전 중단’이라는 공통의 생각을 담아 함께 글을 기고한 것이다.
“후쿠시마 재난의 파급력은 일본 북부 지방을 넘어서고 있다. 짧게 말하면, 원전 사고는 지구적인 문제가 되었다. 구소련 체르노빌 참사가 있은 지 25년이 지났지만 바람을 타고 넘어오는 방사선 피해 때문에 독일 북부 지역의 주민들은 이 땅에서 자라는 버섯을 여전히 채취할 수 없다.” 원전 피해는 그 나라 뿐 아니라 빠르게는 인접국, 멀리 보면 전세계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원전의 비경제성도 지적했다. “납세자들이 핵폐기물 처리와 저장에 따르는 비용을 떠안게 되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보험 비용은 천문학적이다. 수명이 다 한 핵발전소 해체에 드는 비용은 발전소 건설 비용과 맞먹는다.”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다른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는 오랜 시간 의존해 온 화석연료 중심으로부터 태양과 바람과 같은 재생에너지 생산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세계 풍력 발전 용량은 매년 대략 30%를 웃돈다. 덴마크는 전체 전력의 1/4을 풍력에서 얻는다. 독일의 3개 주는 풍력으로부터 전력 수요의 60%를 충당한다.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는 전체 전략 수요의 1/5을 풍력에서 얻는다. <사이언스>지에서는 앞으로 중국이 풍력발전을 통해 현재의 16배에 달하는 발전량을 확보할 것으로 보도했다”
“세계가 원자력 발전에 위협감을 느끼고 있다”
최열 대표와 레스터 R. 브라운 소장의 공동 기고문은 외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11월 28일 미국 Boston시에서 발간되는 조간 신문인 <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에 기고문이 실렸다. 게재된 기사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 다양한 온라인 미디어에 재노출 됐다. 페이스북 추천만 해도 249건. 10명이 보고 1명이 추천했다 가정해도 어마어마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음을 알 수 있다. 기사에 공감하는 사람들의 호응은 그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이지 알게 해준다.
11월 26일 일본의 대표적 일간신문인 <요미우리 신문>과 태국 일간 신문 <방콕포스트>에 기고문이 실렸다. 12월 6일 영자 일간신문인 <코리아 헤럴드>도 이 사건을 크게 보도했다. 그 외에도 <글로벌 에너지 뉴스>, <글로벌 뷰포인트 네트워크>에 기고문이 실렸으며 온라인 매체 및 블로그, 영국 가디언지 웹사이트 토론방에도 기고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번 외신의 집중 보도는 무엇을 시사하는 것일까. 3월 11일.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일본에서는 규모 5.0이상의 지진이 101건 더 발생했다. 원전사고 후유증으로 휘청거리는 일본국민에게는 다발했던 약진조차 공포와 위협의 대상이다. 방사능의 손길은 편력 없이 국가를 넘나들고 원전의 피해는 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한다. 원자력 발전에 의한 환경파괴는 전 인류가 함께 풀어갈 첫 번째 과제가 되었다.
전 세계가 핵 없는 에너지대안사회로 전환되길 바라는 환경재단은 앞으로도 대중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원전 없는 세상’을 위한 길잡이가 되겠다. 환경재단 커뮤니케이션실 이젬마 / maybe815@greenfund.org
|